Skip to content
Jake Jooncheol Kim edited this page Oct 23, 2024 · 7 revisions

9/24 회의록

  1. 이슈 정리 (페이즈 구분, 솎아내기 등)

  2. 페이즈별 피쳐 정리

    • ui의 경우에는 이슈 제목을 페이지 이름으로 (영어) :: 윤수?
    • 이슈에 대해 첫번째 커멘트에다가 최대한 설명을 자세하기 적기 :: 도균, 윤수
  3. UI 가이드 및 유즈케이스 도출

10/04 회의록

  1. 앱 구조 정리
  1. mjpeg 끊기는 것을 감지하는 조건?
  • mjpeg 받는 쪽에서 디데일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
  • callback 쪽을 확인해봐야 할지도
  • 일단 서버에서 안정도를 높히는 방향으로 개발
  • 안드로이드에서는 아래 함수로 감지가 가능한지 확인 필요
    • stateChangeListener = object : MjpegViewStateChangeListener {}
    • onStop() / stopStream() 처리
  1. QR코드
  1. 프린트
  • 공유 기능은 윤수가 테스트해봄 ㅇㅇ
  • PrintService 사용하면 인쇄가 가능할 것으로 보임!
  1. 사진 에디팅?
  • 앱 고유 영역 -> url -> ImageView src
  • 뷰를 이미지로 뽑는 예제 올려줄 예정
  • media store는 일단 보류
  • 도식 참조
  1. 프리뷰?
  • data 영역을 분리할 수 있으면 좋지만 (분리하는게 더 클린한 코드처럼 보이기는 함)
  • 안되면 프리뷰를 포기하는 걸로!
  1. 타이머
  • CountDownTimer 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진행
  1. 전시 부스

10/20 회고록

잘 된 점

  • 1.0.0 릴리즈를 수행함
  • 31개 이슈를 100% 끝냄
  • 단시간안에 많은걸 끝냄. (9/24~10/12)
  • 클린아키텍쳐 몰랐던 팀원의 지식 상승 (hilt 주입, activity scope)
  • 작업 크기 큰 줄 알았으나 빨리 끝냄.
  • 오류 복구 빨리 함.
    • 앱이나 카메라 서버 쪽에서는 자동으로 된 경우도 많음.
    • Fault Safe가 알게 모르게 있다. (Daemon, Log, Retrofit)
  • 첫째날 유동인구 때문에 멈춰주세요 있었는데, 둘째날 현장 통제를 잘 했음 (카메라 위치 이동).

아쉬웠던 점

  1. 돈을 받을걸. 천원이라도. 끝나고 나서
    • 윤수 30만. 형 20만, 상원 2-3만
    • 바이미어커피 송금 복잡함.
  2. 러닝 커브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 (클린아키텍쳐, 컴포즈)
  3. 마지막에 난개발이 심화되었다. (PR 직후 머지 반복)
  4. (윤수 개인적으로) 마지막에 혼자 급박하게 일처리.
    1. 셋이서 일해본 것이 처음. 그라운드 룰 없이 킥오프 없이 해서 그런지도.
  5. 작업 크기 산정 오류 (카메라 서버 더 오래걸릴 줄)
  6. 작업 관련 있는 사람에게 인수인계 잘하기.
  7. Fault Safe하게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Daemon, Log, Retrofit)
    • QR코드가 안되서 되게 만든건 로그로 고친게 아님.
  8. 현장 세팅 시간이 부족했다.
  9. 네트워크 관련되서 다양한 테스트 부족.
    1. 프린터 인터넷 설정
    2. QR도 인터넷 딜레이에 가까운 것.
    3. 핸드폰 핫스팟의 신뢰도가 낮음.
  10. 사진 못받아간 분있음.

개선 방법

  1. 바이미어커피 -> 네이버페이가 나음.
    1. 윤수 결혼식 한해서 회비 (제작비) 걷기
  2. 개발하면서 배우기. 당장 어떻게 하기 힘듬.
  3. 정리하면서 차근 차근. Phase 2.5 (혹은 3) 에서 개선
    1. 뷰모델 State개념 난립
    2. 윤수 UseCase에 6-7개 들어간거 있음.
    3. Util손 봐야함.
    4. UX 가이드 픽스해서
    5. 컴포즈 최소단위 컴포넌트로 분리해야함.
    6. 웹서버 쪽과 설계 논의 필요. 현재는 서버가 DB없는 구조.
  4. 진행상황 공유 잘하면 좋을 듯 (티켓, 회의)
    1. 도균: 티켓으로 무엇을 하는지, 회의 하지 않더라도 파악할 수 있는게 이상적이라고 생각.
  5. 시간이 여유롭다면, 작업 시작전에 미리 리서치 하고, 작업 산정해보기?
  6. 문서화.
    1. 카메라 서버 시스템 데몬
    2. 저널 컨트롤 확인하는거
      1. 에러코드, 메시지 (HTTP상태, 바디)
  7. Trouble shooting을 위해 App전반에 로그를 많이 넣어야할 것 같음.
  8. 사전에 여유 갖고 현장 세팅 미리 준비해가야한다고 생각.
    1. 데드라인 전에 기기를 가까운 사람한테 맡겨놓는 것도 좋음.
  9. 무선 프린터가 아닌 유선 프린터 사기?
    1. rpi의 프린터
    2. 셀룰러 태블릿 사기?
  10. 사진 못받아간 분
    1. 세팅에 저장된 사진 볼 수 있게 해야함. 히스토리 관리.
      1. 사진 저장 내지는 QR키 저장.
      2. 버튼 없이 기본적으로 갤러리 저장.
      3. 오래된 순으로 지우기.
      4. 구현법은 나중으로.
    2. 돌려주기위한 매뉴얼
      1. 명함주기 등으로 안내
      2. 홈페이지에 컨택 포인트 적기 (비실명 계정)
      3. 큐알 코드를 미리 찍어놓기. (거기까지 생각 못함)
  11. 인화지.
    1. RP-108
    2. DNP 프린터.
  12. 키오스크 재설계 하기
    1. 윤수 태블릿 맞게 구멍 넓히기 11인치 없음.
    2. 스탠드 막대기 (자석으로 붙는 4-5만원)
    3. mdf에 시트지 or 우드락. (5T정도, 월넛)
    4. 카메라도 안에 넣어버리기.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