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러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축적하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대학교 내 러닝 크루 및 타 대학 크루 간의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일정을 생성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러닝 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5.5km를 달릴 때마다 ‘RapiD’ 토큰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지급된다.
지급된 RapiD는 각 대학교의 마스코트가 러닝하는 모습을 담은 캐릭터 NFT 아이템을 구매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UniRun은 대학생 러너들에게 러닝에 대한 새로운 동기와 가치를 제공하며, 즐겁고 지속 가능한 러닝 문화를 만들어 간다.
한국정보처리학회 ACK 2024 논문집(제31권 제2호)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러닝 플랫폼 설계’를 주제로 논문을 게재하고 우수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얻었다.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 게재 - 우수상 수상 대학생 러너들을 위한 NFT 기반 러닝 커뮤니티 플랫폼 : UniRun의 설계 및 구현 (2024년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 31권 2호)
분야 | 이름 | 포지션 |
---|---|---|
개발(FE) | 류주아 | 🔦 프론트엔드 리드, 회원가입, 홈, 마이페이지, 러닝 기록, 러닝 일정, nft 화면 UI 구현 및 서버 연동, goolge map api 연동 |
개발(FE) | 김하늘 | 📱 UI 디자인, 캘린더 화면 UI 구현 및 서버 연동 |
개발(BE) | 황지민 | 💻 백엔드 리드, 시스템 설계, DB 설계, API 설계, 서버 개발 (러닝, 블록체인, 캘린더),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및 배포 |
개발(BE) | 강서연 | 🖥️ DB 설계, API 설계, 카카오 로그인 연동, 회원 관리 |
- 기획 및 설계 : 04.01 ~ 06.30 (12주)
- 기획 : 프로젝트 아이디어 논의, 주제 구체화, UI 디자인
- 설계 : 기술 스택 선정, 기능 요구 명세서 작성, ERD, 와이어프레임, 프로젝트 구조 설계, REST API 설계
- 개발 : 07.08 ~ 10.31 (16주)
- UI 구현
- API 구현
- 프로젝트 주요 기능 구현
-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동
- 배포 및 인프라 구축
- 회원 관리
-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 회원탈퇴를 진행한다.
- 러닝
- 구글 지도를 통해 실시간으로 러닝 시간과 거리 기록을 확인한다.
- 러닝 일정 관리
- 러닝 일정을 생성하고 참여한다.
- 대학별로 교내와 전체를 구분하고, 각 대학의 러닝 특성에 맞춰 정규런과 번개런으로 유형을 세분화한다.
- 러닝 기록 관리
- 날짜, 러닝 소요 시간, 총 달린 거리, 칼로리 등 러닝 기록을 확인한다.
- 토큰 보상
- 러닝 거리 5.5km 달성 시, UniRun 자체 토큰 RapiD를 제공한다.
- NFT 구매
- RapiD 토큰을 사용하여 NFT를 구매한다.
홈 UI | 캘린더 UI |
---|---|
![]() |
![]() |
러닝 시작 UI | 러닝 중 UI |
---|---|
![]() |
![]() |
NFT 구매 UI | NFT 소장 UI |
---|---|
![]() |
![]() |
ERC20 컨트랙트는 Solidity로 작성 후 네트워크에 배포되어 초기 공급량이 설정되고 소유자 지갑에 Mint 작업으로 발행된다. 발행된 토큰은 네트워크에 기록되어 유통 및 전송이 가능하며, 서비스에 활용된다.
교내 러닝 크루 활동을 하면서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러닝앱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느껴왔습니다. 따라서 매번 러닝 일정을 생성하고 참여자를 조사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명확하게 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 적용된 앱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유저의 입장에서 끊임없이 고민하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설계해보는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고 블록체인, iOS와 같은 기술SDS을 다뤄보면서 개발자 역량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획, 디자인, 개발, 논문, 특허 출원까지 모든 단계를 직접 경험하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이 예상보다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그만큼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참여하면서도 디자인 작업에 함께하며 React Native와 TypeScript를 학습하고 개발을 병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정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했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경험은 제게 큰 성장의 발판이 되었고, 팀워크의 중요성을 깊이 느끼게 한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 디자인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꾸준히 발전하고 싶습니다.
시스템 설계부터 서버 개발, 배포까지 전 과정을 직접 경험하며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다중 서버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배우며, 아키텍처 설계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을 처음 접하며 낯선 용어들로 어려움을 겪었던 시간이 기억에 남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실제 개발에 적용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문제 해결 능력과 학습 방법 등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기반으로 기술적 도전에 주저하지 않는 개발자가 되고자 합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장기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설계부터 개발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로서 데이터 처리 로직을 설계하고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스프링 부트를 학습하는 시간이 필요해 개발 일정에 차질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완수했다는 점에서 큰 성취감을 얻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기술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 앞으로 이러한 기술들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하여 백엔드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자 합니다.